"15살 아이들을 성상품화?" MBN '언더피프틴' 방송 강행에 129개 단체 분노 폭발

"모든 어린이와 청소년이 자기다움을 잃지 않고 고유한 속도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김정덕 정치하는엄마들 스쿨미투 대응팀장은 MBN이 지난 21일 "사회 각계의 의견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한 발언을 언급하며 방송 취소를 촉구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단체들은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에 '여성 아동 착취'에 대한 책임 인정과 제작·홍보 전면 중단, 이미 제작된 방송분의 완전 폐기를 요구했다. 또한 MBN에는 방송 계획 즉각 철회를, 방송통신위원회와 여성가족부에는 아동·청소년 대상 오디션·연예 콘텐츠에 대한 명확한 기준 수립과 성적 대상화 및 인권침해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3월 31일 첫 방송을 앞둔 '언더피프틴'은 티저 영상이 공개된 후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 아이돌 산업의 여성 아동 대상화 문제를 둘러싸고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어린 참가자들의 외모와 신체를 강조하는 방식과 과도한 노출, 선정적 안무 등이 주요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는 3월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방송 강행 의지를 고수했다. 제작사 측은 "참가자들의 꿈을 존중하는 프로그램"이라며 "부적절한 표현이나 연출은 수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대응이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는 거리가 있다고 비판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김지연 부위원장은 "교사로서 15세 이전에 성공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꿈을 이루기 위해 가혹한 기준에 자신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고 청소년들에게 말해주고 싶다"며 "오히려 불합리한 기준에 맞서 비판하고 저항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과 함께 계속해서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은 K-팝 산업이 성장하면서 아이돌 지망생의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오디션 프로그램이 증가하는 가운데 아동·청소년 보호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경계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시켰다. 시민단체들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권이 산업적 이익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며 정부 차원의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로또용지 찢지마세요. 97%이상이 모르는 비밀! "뒷면 비추면 번호 보인다!?"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